“내가 지금 잘하고 있는 걸까?” 30대가 되면 슬슬 재테크와 재무관리에 대한 고민이 커지기 시작합니다.
하지만 무엇부터 점검해야 하는지 모른다면 좋은 수입이 있어도 **자산이 체계적으로 쌓이지 않게 됩니다.**
이번 글에서는 30대에게 꼭 필요한 재무 점검 항목 5가지와 기준 수치를 안내드립니다. 지금 당신의 자산이 어디쯤 와 있는지도 함께 확인해보세요.
1. 월 현금흐름 구조 – 수입보다 ‘남는 돈’이 중요
- 총수입 – 고정지출 – 소비지출 = 월 잉여금
- 이 잉여금이 **자산 증가의 핵심 원천**입니다.
✅ 체크포인트
- 월 고정지출이 총수입의 60% 이하인가?
- 월 잉여금이 수입의 최소 20% 이상인가?
- 매월 저축·투자가 자동화되어 있는가?
실전 팁: 월급통장 분리(4계좌 시스템)로 현금흐름 자동화하세요.
2. 비상금 & 예비자금 – 언제든 꺼낼 수 있는 안전판
예상치 못한 사고, 이직, 질병은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습니다.
✅ 체크포인트
- 3~6개월치 생활비가 따로 마련되어 있는가?
- 예비자금은 입출금 자유형 계좌(CMA, 예금 등)에 있는가?
- 신용카드 돌려막기나 대출 없이 위기를 견딜 수 있는가?
기준 자산: 생활비 150만 원 × 6개월 = 최소 900만 원 이상
3. 투자 자산 – 자산증식의 엔진
30대는 복리의 시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**골든타임**입니다.
✅ 체크포인트
- ETF, 연금, 배당주, 리츠 등에 매월 투자하고 있는가?
- 자산 중 최소 30% 이상은 성장형 자산으로 구성되어 있는가?
- 장기 투자용 계좌(연금저축, IRP 등)를 활용 중인가?
애널리스트 팁: 이 시기엔 수익률보다 **투자 루틴 확보**가 더 중요합니다.
4. 보장 자산 – 의료비/사고 대비 방어선
불확실한 미래에 대비하려면 최소한의 보장 설계도 필요합니다.
✅ 체크포인트
- 실손의료보험, 암/수술 특약이 적용된 보험에 가입되어 있는가?
- 보험료는 월수입의 10% 이하인가?
- 중복보장/불필요한 보험은 없는가?
실전 팁: 보험은 “위험 전가 수단”일 뿐, 투자수단이 아닙니다. **필요 최소한만, 정확히 가입**하세요.
5. 노후 준비 – 지금부터 시작해야 유리한 장기전
은퇴는 언젠가 오지만, 노후자산은 지금부터 만들어야 복리가 작동합니다.
✅ 체크포인트
- 연금저축 또는 IRP에 월 30만 원 이상 투자하고 있는가?
- 세액공제 혜택을 연말정산에 활용하고 있는가?
- 노후에 필요한 생활비 목표는 설정되어 있는가?
기준: 55세 이후 월 100만 원 목표 시 → 연 6% 수익 기준 최소 2억 필요 → 지금부터 월 40~50만 원씩 장기 투자 필요
결론 – 30대는 자산 성장의 ‘기준선’을 만드는 시기
자산을 불리는 것도 중요하지만, ‘어디서부터 점검할지’ 모르면 계속 불안감에 시달릴 수밖에 없습니다.
이번 체크리스트를 통해 지금 내 자산 구조를 객관적으로 들여다보고, 부족한 부분을 하나씩 채워가세요.
30대는 **복리, 현금흐름, 방어력**이라는 세 가지 기둥을 세울 수 있는 황금 시기입니다.
그 시작은 점검표 하나에서 시작됩니다. 지금 이 글을 본 당신은 이미 반은 준비된 사람입니다.